전승일 제노사이드 애니메이션 <금정굴 이야기>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전승일 제노사이드 애니메이션 <금정굴 이야기>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9)
    • 공지사항 (41)
    • 전승일 감독 소개 (1)
    • 고양 금정굴 사건 (4)
    • 전승일 금정굴 연작 (5)
    • 전승일 그림 모음 (2)
    • 제작과정 (2)
    • 제노사이드 해외자료 (6)
    • 제노사이드 국내자료 (4)
    • 애니메이션 사례 (23)

검색 레이어

전승일 제노사이드 애니메이션 <금정굴 이야기>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제노사이드 국내자료

  •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김동춘)

    2021.01.24 by 미메시스TV

  • <전쟁과 사회>(김동춘)

    2021.01.22 by 미메시스TV

  • <국민은 적이 아니다>(신기철)

    2021.01.20 by 미메시스TV

  • <제노사이드 - 학살과 은폐의 역사>(최호근)

    2021.01.20 by 미메시스TV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김동춘)

지음 : 김동춘 비판적 사회학자 김동춘이 연구와 실천을 합치시킨 양심과 책임의 기록. 한국전쟁기 학살 사건 진상규명에 참여했던 저자가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시민단체를 결성하고, 정부 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하며 진행했던 과거청산의 경과와 쟁점, 성과와 한계를 정리하고 있다. 특히 민간에서 시작된 학살 진상규명 요구가 정치권을 거치며 어떻게 굴절되었는지, 정부 기관인 진실화해위의 조직과 운영의 한계가 제대로 된 과거청산을 어떻게 가로막았는지, 과거청산의 목적이 피해자 구제인지 또는 정의 수립인지 등 활동과정에서 겪었던 수많은 쟁점들을 정리하며 과거청산의 성과와 한계를 되짚고 있다. 김동춘 교수는 과거청산 운동에 직접 참여한 당사자로서 민주화 이후 한국의 과거청산에 대해 냉정한 비판과 성찰을 시도하고 있다. ..

제노사이드 국내자료 2021. 1. 24. 13:21

<전쟁과 사회>(김동춘)

지난 2000년에 출간된 의 개정판. ‘한국전쟁’의 지배적 해석에 관한 최초의 비판서로, 국가의 공식적 기억이 아닌 남북한 민중의 체험을 바탕으로 바라본 한국전쟁에 대해 서술했으며, 전투가 아닌 정치 행위로서의 전쟁, 근대국가의 형성과 유지에 필수적이었던 원초적 국가 폭력으로서의 전쟁, 민중들의 적응 양태 등을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전쟁의 경험과 기억을 보편적인 언어로 해석했다. 알라딘 바로가기

제노사이드 국내자료 2021. 1. 22. 06:39

<국민은 적이 아니다>(신기철)

"한국전쟁 당시, 이 땅에서는 총을 들지 않았던 수많은 국민이 자신을 지켜줄 것이라고 믿었던 국가의 손에 영문도 모른 채 목숨을 잃었다. 국민보도연맹원, 형무소 재소자, 작전 지역의 피난민, 부역 혐의자뿐만이 아니라 그저 평범한 할머니, 할아버지, 주부, 학생, 심지어 어린이들까지. 국가는 왜 자기 국민에게 총부리를 들이댔을까? 그 억울한 죽음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알라딘 바로가기

제노사이드 국내자료 2021. 1. 20. 15:17

<제노사이드 - 학살과 은폐의 역사>(최호근)

“제주 4·3은 양민을 빨갱이로 몰아 ‘인간 같지 않은 존재’라는 이미지로 만들고 무차별 절멸시키고자 군경과 관료들이 사명감을 가지고 나섰던 제노사이드 사건이었습니다.” 알라딘 바로가기 한겨레 인터뷰 바로가기

제노사이드 국내자료 2021. 1. 20. 15:0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전승일 제노사이드 애니메이션 <금정굴 이야기>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